안전보건체계구축 컨설팅
위험성평가 중심의
「자기규율 예방체계」 확립 컨설팅
⊙ 중소규모 사업장의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및 개선대책 등을 중심으로 「안전보건관리체계구축 핵심 7가지 요소」컨설팅
⊙ 사망사고 고위험요인 평가 정보자료 등을 활용하여 사업장의 근원적인 위험요인을 근로자와 함께 찾아가는 컨설팅 중점 실시
목적
안전보건 개선 역량 부족 및 재정적 한계로 인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험성평가 중심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을 지원함으로써 사업장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 및 확산에 기여
대상
- 규모 : 상시근로자 수 5~49인 사업장(건설업 제외) 중심 (50~299인 사업장의 경우 희망 시 컨설팅 가능)
- 업종 ① 제조업 ② 기타업종(운수·창고·통신업, 광업, 임업, 기타의사업(시설관리및사업지원서비스업, 도소매및소비자용품수리업에 한함)
- 빅데이터(공단) 및 경험 기반(고용부) 고위험 사업장, 사고사망 등 지역별 산업재해 발생 특성을 고려한 산재 취약 사업장 중심으로 지원
컨설팅 지원사항
⊙ 중소규모 사업장의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및 개선대책 등을 중심으로 「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 핵심 7가지 요소」 컨설팅
① 제조업 및 특화업종
1회차 |
|
| 2인 1조(1회차~2회차) |
2회차 |
|
| |
3회차 |
|
| 1인 수행가능 |
4회차 |
|
| |
5회차 |
|
|
② 기타업종 : 2회 지원
단계(회차)별 기술지원 단계(회차)컨설팅 핵심사항 컨설팅 세부내용 수행방식
1회차 |
|
| 2인 1조(1회차) |
2회차 |
|
| 1인 수행(2회차) |
안전보건체계구축 컨설팅
위험성평가 중심의
「자기규율 예방체계」 확립 컨설팅
목적
안전보건 개선 역량 부족 및 재정적 한계로 인해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이행에 어려움을 겪는 소규모 사업장을 대상으로 위험성평가 중심의 안전보건관리체계 구축 컨설팅을 지원함으로써 사업장의 자기규율 예방체계 구축 및 확산에 기여
대상
- 규모 : 상시근로자 수 5~49인 사업장(건설업 제외) 중심 (50~299인 사업장의 경우 희망 시 컨설팅 가능)
- 업종 ① 제조업 ② 기타업종(운수·창고·통신업, 광업, 임업, 기타의사업(시설관리및사업지원서비스업, 도소매및소비자용품수리업에 한함)
- 빅데이터(공단) 및 경험 기반(고용부) 고위험 사업장, 사고사망 등 지역별 산업재해 발생 특성을 고려한 산재 취약 사업장 중심으로 지원
컨설팅 지원사항
⊙ 중소규모 사업장의 유해·위험요인 파악 및 개선대책 등을 중심으로 「안전보건관리체계를 구축 핵심 7가지 요소」 컨설팅
① 제조업 및 특화업종
1회차 |
|
| 2인 1조(1회차~2회차) |
2회차 |
|
| |
3회차 |
|
| 1인 수행가능 |
4회차 |
|
| |
5회차 |
|
|
② 기타업종 : 2회 지원
단계(회차)별 기술지원 단계(회차)컨설팅 핵심사항 컨설팅 세부내용 수행방식
1회차 |
|
| 2인 1조(1회차) |
2회차 |
|
| 1인 수행(2회차) |